

식생 매트 소개

▪ 하천제방, 도로비탈사면, 법면 녹화가 필요한 사면 및 토사유출방지
▪ 자연형하천의 법면, 도로의성토.절토면, 고수부지, 인공습지, 골프장, 공원조성 등
▪ 식물의 조속한 성장에 의한 사면의 유실 및 세굴 등 사면 훼손의 방지
▪ 건조토양 등 식생이 어려운 조건을 가진 토양의 보호 및 녹화
▪ 지속적인 관수 관리가 곤란한 사면의 녹화
▪ 다양한 식물군의 조성을 위하여 소립종자와 대립종자가 혼용되어야 하는 사면의 녹화
▪ 친환경적이고 다양한 천연소재를 이용한 다중 식생매트로서 효과적인 사면 및 지반의 보호가 가능하며, 일정 시간 경과 후 자연분해가 진행되어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줌
▪ 매트의 보습기능을 강화함으로써 건조한 토양에서도 식생에 대한 관리가 용이함
▪ 수분 함유 시 보습성으로 인한 매트의 중량이 늘어남으로 토양과의 밀착성이 증대되어 종자의 발아 및 생장에 유리함
▪ 종자 층에 수용성 펄프지 및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시공 후 경관성 및 종자 활착성이 뛰어나며 천연 피트를 첨가함으로써 종자 발아 및 성장에 도움을 줌
▪ Eco Green 식생매트의 층(layer) 구성

표면층 : 황마네트, 코이어네트, 거적, 그리드, PP, PE, PLA 등을 이용하여 직사광선이나 건조한 조건으로부터 매트를 보호함
순환 및 보습층 : 코아블랑켓, 황마 솜 등 조직이 성긴 재질로 매트내 공기 순환 및 보습기능을 충족시켜 발아를 촉진함
보호층 : 황마네트 등을 이용하여 종자 층을 보호하며 각 층간 결속력을 강화시킴
종자층 : 수용성 천연 펄프층을 사용함으로써 수분 공급 시 종자를 토양에 균일하게 접촉시키고 재 건조 시 종자층의 뭉침이 없어 경관성 및 발아를 유리하게 함
제품명 | 모델명 | 제품규격 | G2B물품식별번호 |
Eco Green 식생매트 A형 | IRE-101 | W2000*VAR*T10.69mm | 30121785-22236963 |
Eco Green 식생매트 B형 | IRE-102 | W2000*VAR*T14.44mm | 30121785-22236964 |
Eco Green 식생매트 C형 | IRE-103 | W2000*VAR*T10.87mm | 30121785-22236965 |
Eco Green 식생매트 D형 | IRE-104 | W2000*VAR*T18.99mm | 30121785-22236966 |
- Eco Green 식생매트 A형 : 코이어네트+종자/식생지+황마네트
- Eco Green 식생매트 B형 : 코이어네트+황마네트+종자/식생지+코이어네트
- Eco Green 식생매트 C형 : 코이어네트+황마네트+종자/식생지+황마네트
- Eco Green 식생매트 D형 : 코이어네트+황마네트+종자/식생지+코이어화이바
제품명 | 모델명 | 제품규격 | G2B물품식별번호 |
Eco Green 식생매트 F형 | IRE-106 | W2000*VAR*T11.66mm | 30121785-22236967 |
Eco Green 식생매트 G형 | IRE-107 | W2000*VAR*T12.21mm | 30121785-22236968 |
Eco Green 식생매트 H형 | IRE-108 | W2000*VAR*T10.41mm | 30121785-22236969 |
- Eco Green 식생매트 F형 : PE망또는황마망 + 코이어네트 + 종자/식생지 + 황마네트
- Eco Green 식생매트 G형 : PE망또는황마망 + 황마네트 + 종자/식생지 + 코이어화이바
- Eco Green 식생매트 H형 : 황마네트 + 종자/식생지 + 씨거적(볏짚)
![]() |
![]() |
![]() |
1. 자재반입 | 2. 면고르기 | 3. 매트깔기(10cm겹침시공) |
![]() |
![]() |
![]() |
4. 고정핀 설치 | 5. 관수(생략가능) | 6. 초기녹화(시공2개월) |

길이 | 삼각뿔형 돌기부 | D10~13mm의 ㄱ자 | 양철팩 | |||
점질토 | 사질토 | 점질토 | 사질토 | 점질토 | 사질토 | |
200mm | 12.13㎏/㎡ | 23.64㎏/㎡ | 7.93㎏/㎡ | 15.31㎏/㎡ | 3.24㎏/㎡ | 7.31㎏/㎡ |
300mm | 20.25㎏/㎡ | 36.78㎏/㎡ | 11.82㎏/㎡ | 22.65㎏/㎡ | 6.51㎏/㎡ | 14.24㎏/㎡ |
500mm | 34.25㎏/㎡ | 68.24㎏/㎡ | 19.61㎏/㎡ | 40.19㎏/㎡ | 8.92㎏/㎡ | 18.57㎏/㎡ |
대분류 | 중분류 | 소분류 | 허용유속 (m/s) |
허용소류력 (kg/m²) |
비 고 |
고수 호안 | 식생공 | 평떼, 초본류파종 | 2.0 | 2.0 | 활착시 |
식생매트 | 3.0 | 8.0 |
- 허용유속 및 허용 소류력은 경험적인 산출로 하천 별 특성에 따른 변동요인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시공 방법에 따라 허용유속 및 허용 소류력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.
- 비탈 덮기 공법은 홍수 시 발생될 수 있는 하천환경을 고려하여 터파기와 되메우기 시 식생매트의 깊이와 구조에 의해 허용유속 및 허용 소류력을 높일 수 있다.
- 호안 설계 시에는 치수, 이수의 안전성 확보와 주변생태계와의 연계성을 검토하고 인근주민들의 근접성 및 이용도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실행해야 한다.
- 아래 표에 열거한 조건을 충족하는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.
기 능 | 안 정 성 | 기타 설계요인 |
|
|
|
- 식생매트 호안의 환경특성
- 토양의 보습작용 및 수질 및 토양 정화 특성이 있다. - 초화류일 경우 곤충서식이 활발하고 조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. - 자연 친화적이므로 양호한 경관을 확보할 수 있다. - 기후, 수질 등의 환경 역기능에 따른 부식, 풍화 등의 우려가 없다. - 완전한 식생공간이 확립되면 유지관리상 유리하다.
구분 | PLA 식생매트 | 자연소재 식생매트 | 화학소재 식생매트 |
제품도 | ![]() |
![]() |
![]() |
시공전경 | ![]() |
![]() |
![]() |
소재특성 | 100%옥수수 기반의 생분해성 제품으로 원 지반에 지렁이를 비롯한 다양한 소곤충과 미생물이 생육가능한 생태복원공법 | 야자섬유를 직조한 매트로 보습력, 보비력(保肥力) 뛰어나 식물의 성장이 빠르며 식물활착 후 분해되어 흙으로 환원됨 |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석유화학제품과 종자를 조합한 제품으로 식생활착 후에도 하천에 잔존함 |
규 격 | 2.0m x VAR | 2.0m x VAR | 2.0m x VAR |
장 점 |
- 주변식생과 조화를 이룬 식물에 의한 생태복원 공법 - 15~20년 후 생 분해됨 |
- 사면 밀착력이 뛰어나며, 3각 망으로 토사유출을 방지함 - 2~5년 후 분해됨 |
- 강력한 복합보강 망으로 유수에 안정적으로 지반을보호함 - 다양한 조합이 가능함 |
단 점 | 급 구배 사면의 시공이 어려움 | 매트간 접합부의 정밀시공이 요구 됨 | 부분 파손으로 연쇄적 파손피해 가능 |
개략공사비 | 18,800~21,500(원/㎡) | 8,000~22,000(원/㎡) | 12,200~25,00(원/㎡) |
인장강도 (KN/m) |
6.5~10.5 | 12.5~17.5 | 3.5~8.5 |
인장신도 (%) |
30 이상 | 30 이상 | 20~50이상 |
두께(mm) | 8~18 | 18~25 | 8~18 |
식물종자 | 8종 종자포함 | 8종 종자포함 | 5종 종자포함 |
주요성능 평가항목 |
내 용 |
허용유속 (velocity(vegetated)) |
유속에 의한 호안설계 방법은 하천에 대해 유속을산정하고 호안별 허용유속과 비교하여 허용유속에 안전한 호안공법을 선정하는 설계방법임 Check : 식생매트호안 (하상경사 : 완류~중류), (대표유속 2~3m/s), (비탈경사 1:1.5~1:2), (유선관계 : 직선부,사수부) 자연형하천공법(2000 행정자치부) |
허용소류력 (tractive force) |
소류력이란 하천 내에서 바닥의 토사를 움직이게 하는 힘을 말함. 소류력이 과도하게 되면 매트 밑에 있는 흙 입자가 이동하게 됨 Check : 식생매트공법은 통상적으로 7~15kgf/㎡의 소류력에 안정하며, 매트의 세밀한 정도에 관여한다. 매트에 공극이 크면 세굴될 위험이 커지므로 물과의 접촉이 빈번한 지역은 별도의 토사유출방지를 위한 생분해성 시트를 부가해야 함 |
허용인발력 (pullout strength) |
식생매트공법은 식물제 호안공법으로 고정장치에 의해 지반에 고정되며, 식물이 활착하기 전에는 고정장치의 고정력에 의존하므로 인발력의 계산이 필요함 Check : 토양에 따라 인발력이 상이하며, 기존 철근팩은 설치는 간편하지만 고정력이 떨어져 별도의 고정공법이 요구된다 |
인장강도 (tensile strength) |
식생매트공법을 하천에 적용 시 호안자재로서 유수의 소류력을 견디고 홍수와 같은 유사시에 제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의 강도를 가져야 함 Check : 국내 식생매트 제품은 서로 상이한 단위를 사용하고 있으나 로하스표준단위인 KN/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, 매트설치 시 파손이 없도록 6KN/㎡이상이어야 함 |
두께 (thickness) |
식생매트의 가공방법, 소재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가지며,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 식물성장에 장애가 됨 Check : 8~18mm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며, 매트의 조밀도와 연관하여 토사유출을 막아주는 기능이 있는지 판단하여야 함 |
무게 (weight) |
식생매트공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지만 매트자체가 일정의 무게를 지녀야 바람에 의한 들뜸 현상을 막아주며, 경량소재의 경우 복토 량을 더해 줌 |
인장신도 (elongation) |
토사면의 슬라이딩에 충분히 저항하고, 매트의 일체성 증진을 위해 일정의 인장 신율을 지녀야 함 Check : 매트가 늘어난 길이를 %로 나타낸 양으로 20~50%가 적당하며 신율이 크면 사면고정력이 떨어짐 |
소재 (mattrer) |
석유화학소재(PP, PET, PE, PA), 천연섬유(코이어, 황마, 면)가 주류를 이루며 최근 PLA(생분해성소재)를 활용한 친환경제품이 요구됨 Check : 식물종자의 발아에 필요한 보습작용, 토사유출 방지기능 및 환경성, 경관성, 안전성, 유지관리 성을 살펴보아야 함 |
종자선정 |
식생매트공법의 목적에 부합하는 식물제 호안공법이 되도록 지역환경에 순응하는 수종을 선별하여야 하며, 토질에 따라 적당한 사전조치를 취하여야 함 (ex 사질토양-토양개량제를 50g/㎡포설하여 보습을 도와줌) Check : 매트의 사면 밀착을 위한 랜드형 수종 + 매트를 고정해주는 심근성 수종 + 경관향상을 위한 계절별.화색별 초화류 + 지역토착수종 |
고정장치 |
국내 보급되는 식생매트는 2m폭으로 생산되며, 매트를 겹 이음 하여 사면에 설치하게 되는데 강우 시 유수에 의한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 팩, 식생매트안전팩 등이 사용됨 Check : 철근 팩은 하천수와 접촉하여 녹물발생, 토양오염을 가중시킴. 식생매트 안전 팩은 높은 인발력과 4면 접지고정으로 넓은 면적을 고정하는 것이 좋다 |